Insight

티몬 사태 에서 배워보는 이커머스 관련 용어

userimage

Waveon Team

0 min read

읽기 목록

2024년 7월, 티몬-위메프 사태가 터지다

2024년 7월, 티몬-위메프 사태가 터지다

2024년 7월, 한국의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인 티몬과 위메프에 문제가 생기면서 구매자와 판매자들이 피해를 입었다는 뉴스가 요즘 연일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커머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이 용어들 때문에 혼란에 빠집니다.

정산을 못 받았다는데 정산이 뭐지? 판매 대금은 또 무슨 개념이야? PG사는 또 무슨 말이야? 등등 해당 용어 때문에 혼란을 겪고 있다는 여러 유저들을 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럼 이 용어들이 다 무슨 말일까요?

티몬 사태에 언급된 대금? 정산? PG사? 이게 다 무슨 말이에요?

티몬 사태에 언급된 대금? 정산? PG사? 이게 다 무슨 말이에요?

이커머스 계열에서 업무를 한다면 흔하게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지만,이커머스에서 일하지 않았다면 낯설게 들리는 단어들이 이 단어 들입니다. 사전적 의미들을 각각 풀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대금: 소비자들이 상품 구입을 대가로 판매자에게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입니다.

  • 정산: 소비자에게 상품을 플랫폼에서 구매했다면 그 대금이 바로 판매자에게 가는 것이 아닌 플랫폼으로 가게 됩니다, 이커머스 플랫폼의 운영 담당자는 특정 날짜가 되면 플랫폼 수수료를 떼고 판매자에게 판매 대금을 지급하게 되는데, 이걸 ‘정산’이라고 부릅니다.

  • PG사: PG란 Payment Gateway의 약자로, PG사는 일반 소비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온라인에서 결제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소비자가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PG사의 서비스 화면을 거치게 되어있습니다.

티몬 등에서 이커머스 판매자들이 돈을 받는 과정

티몬 등에서 이커머스 판매자들이 돈을 받는 과정

그래서 이번 사건이 문제가 되었던 건 일반적인 이커머스 판매자가 돈을 받는 과정대로 매끄럽게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 판매 대금 발생: 판매자가 이커머스 플랫폼에 상품을 등록하고, 소비자가 이를 구매하여 판매 대금이 발생했다, 까지는 정상적으로 진행됐습니다.

  2. 결제 처리: 소비자가 결제하면, PG사가 결제 금액을 이커머스 플랫폼에게 전달해야 하지만, 티메프 사태 문제를 인지한 PG사들은 결제 및 환불이 되지 않도록 티몬과 위메프에 한정하여 서비스를 중단했습니다.

  3. 정산: 일반적으로 ****이커머스 플랫폼은 일정 기간 후, 수수료를 공제한 후 판매자에게 남은 금액을 정산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이 미뤄지다가 중단되면서 판매자는 판매 대금을 정산받지 못했다는 문제가 발생한 것입니다.

추후 이커머스 부업을 한다면 유의해야 하는 사항

추후 이커머스 부업을 한다면 유의해야 하는 사항

비록 티몬과 위메프에서는 해당 사건이 발생했지만, 네이버나 쿠팡 등 대형 쇼핑 플랫폼에도 똑같은 프로세스가 적용되기 때문에, 나중에 이커머스 부업을 생각하신다면 다음과 같은 부분을 고려해보셔야 합니다.

  • 플랫폼 선택: 신뢰할 수 있는 이커머스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정 상태가 안정적이고 정산 이슈 등이 발생하지 않았던 플랫폼이 좋습니다.

  • 정산 주기 확인: 판매 대금이 언제 정산되는지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플랫폼 별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꼭 숙지하셔야 합니다.

  • 수수료 구조 이해: 플랫폼별 입점 시, 정산 때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가 모두 다릅니다. 각 플랫폼의 수수료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고려한 가격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래도 이커머스 산업은 지속할 것이다.

티몬과 위메프 사태가 발생했지만, 아직까진 네이버나 쿠팡 같은 안정적인 플랫폼이 있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 자체에 대해선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플랫폼 입점에 앞서서 자신의 상품이 얼마나 니즈가 있는지 한 번 예약구매 등을 테스트 해보고 본격적으로 플랫폼 입점으로 진행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예약구매 페이지 미리보기

템플릿 구경하기

노코드 인사이트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웨이브온 뉴스레터 구독하기

*email을 입력해주세요

Waveon Banner Image

관련된 아티클

아웃바운드 세일즈 프로스펙팅 팁: 효과적인 잠재 고객 발굴 전략
Insight

아웃바운드 세일즈 프로스펙팅 팁: 효과적인 잠재 고객 발굴 전략

B2B 비즈니스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아웃바운드 프로스펙팅에 대해 알아봅니다.B2B 영업 및 마케팅을 하고 있다면 아웃바운드프로스펙팅(Outbound Prospecting)이라는 개념을 반드시 아셔야 합니다.인바운드 마케팅이 광고, SEO, 웨비나, 콘텐츠 마케팅등을 활용하여 잠재 고객이 스스로 찾아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라면, 아웃바운드 세일즈는 영업 담당자가 먼저 적극적으로 잠재 고객을 찾아 연락하고관계를 구축하는 방식인데요.아직 시장에서 인지도가 낮은 초기 B2B 스타트업이라면, 또는 의사 결정 과정이 길고 복잡한 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다면세심한 아웃바운드 세일즈 전략이 필수적입니다.그리고 그 핵심은 바로 프로스펙팅(Prospecting)에 있습니다.아웃바운드프로스펙팅이란?아웃바운드 프로스펙팅이란

티몬 사태 에서 배워보는 이커머스 관련 용어
Insight

티몬 사태 에서 배워보는 이커머스 관련 용어

2024년 7월, 티몬-위메프 사태가 터지다2024년 7월, 한국의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인 티몬과 위메프에 문제가 생기면서 구매자와 판매자들이피해를 입었다는 뉴스가 요즘 연일 보도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커머스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이 용어들 때문에 혼란에 빠집니다.정산을 못받았다는데 정산이 뭐지? 판매 대금은 또 무슨 개념이야? PG사는 또 무슨 말이야? 등등 해당 용어 때문에 혼란을 겪고 있다는 여러 유저들을유튜브 댓글 등을 통해 확인되고 있습니다. 그럼 이 용어들이 다 무슨 말일까요?티몬 사태에 언급된 대금? 정산? PG사? 이게 다 무슨말이에요?이커머스 계열에서 업무를 한다면 흔하게 자주 쓰이는 단어들이지만,이커머스에서 일하지 않았다면 낯설게 들리는 단어들이 이 단어 들입니다.사전적 의

인바운드 마케팅이란? - 인바운드 마케팅 전략 : 가치 있는 콘텐츠를 통해 고객 유입시키기
Insight

인바운드 마케팅이란? - 인바운드 마케팅 전략 : 가치 있는 콘텐츠를 통해 고객 유입시키기

점점더 치열해 지는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에서는 기존의 잠재 고객에게 전화를 걸어 영업을 하는 방식의 아웃바운드 마케팅 전략의 효과가 떨어지고있습니다. 반면 인바운드 마케팅은 가치 있는 콘텐츠를 먼저 제공하여 고객을 유치하고 참여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인바운드 마케팅의 일환으로서관련성 있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기업은 고객에 대해 신뢰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고객 획득과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가치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인바인드 전략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대상 고객 이해 구매자 페르소나 생성인구통계학적 정보: 연령, 성별, 위치, 교육 수준 및 직업과 같은 대상 고객에 대한 기본적인 인구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시작합니다.이

노코드 인사이트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웨이브온 뉴스레터 구독하기

*email을 입력해주세요